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ARK: Survival Ascended
(r1 문단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출시 전 반응 == 워낙 갑작스럽게 기존에 업데이트를 유지하고 있던 [[아크: 서바이벌 이볼브드|ASE]]의 업데이트 및 공식 서버 종료 소식과 리마스터판 발매 소식에 국내외 관계없이 관련 커뮤니티는 혼란에 빠졌으며 긍정론과 부정론이 엇갈리고 있다. 긍정적으로 보는 입장에선 아크가 '''2014년'''에 출시된 게임이어서 엔진이나 기술력 등 게임 자체가 꽤 노후화된 만큼 기존에 산재해있던 오만가지 버그들과, 최신 맵들이 많은 컨텐츠와 편의성들을 가지고 출시되는 것에 비해 기존 맵들에 대한 업데이트와 정비가 전혀 없어 최신 맵에만 치우친 맵 밸런스를[* 실제로 ASE 주요 컨텐츠들이 업데이트 완료된 시점에서 메인으로 개선한다고 밝힌 유료 DLC인 스코치드 어스와 에버레이션은 무료 DLC에서 컨텐츠의 대다수가 사용된 것에 비해 원본 맵에 대한 추가적인 이점이나 보상은 전혀 없는 상태였고, 익스팅션과 제네시스, 그리고 일부 후기 무료 DLC(크리스탈 아일/피오르두르)에 독자적인 컨텐츠와 편의성이 치우쳐있다.] 가지고 있고, 그리고 PVP, PVE의 메타를 크게 개선시킬 기회라고 보고 있다.[* 최상위 생물종들과 이를 보조하는 생물 위주의 한정적인 아이템들만 사용하여 메타가 고착화된 PVP야 말할 것도 없고, PVE 역시 하위 티어의 생물이 잠깐동안만 쓰이거나 아예 안 쓰이고 버려지는 경우가 허다하다.] 사실 리마스터 이전의 작품에서 이것을 고치려고 해도 와일드카드 입장에선 [[ARK 2|새로운 작품]]의 개발에 많은 인력을 투입해야 하며 그것이 나오기 전까지 유저들을 달래줄 컨텐츠 추가까지 신경 쓰기에는 한계가 있다. 부정적으로 보는 입장에선 게임의 [[우려먹기|내용물은 거의 같으면서도]] 기존 ASE 구매자들도 DLC까지 개별 구매를 해야 한다는 것에 대한 거부감, 리마스터 이전의 개판 5분전인 최적화 상태와 용량[* 특히나 언리얼 엔진 5로 바꾸면서 그래픽은 향상될 지 모르나 이에 비례해 용량과 요구사양이 급증할 것이라는 우려가 많다.], 태만한 멀티플레이 서버관리 등의 문제가 리마스터 이후에도 그대로 답습 될 것이라는 우려, 와일드카드가 보인 그동안의 행적으로 미루어 보아 리마스터 이후에도 게임성이 크게 달라지지는 않을 것이라는 비관론[* 실제로 본편에서도 여러 차례 버그나 문제점 개선을 시도하였으나 아직도 문제가 산더미처럼 많이 남아있다.], 게임의 기반이 되는 엔진까지 바꾸는 리마스터라는 작업도 거의 새 게임을 만드는 것과 다름없어 이번 리마스터와 아크 2가 기존의 문제점을 고치지 못해 그것을 감추기 위한 핑계[* 실제로 아크 2의 [[https://survivetheark.com/index.php?/articles.html/redefining-the-survival-genre-with-ark-2-and-an-update-from-our-studio-founders-r1949/|티저 공개와 함께 올라온 글]]에 따르면 아크 2의 목표를 "아크 1이 되기를 원했던 게임(Put simply: with ARK 2, our goal is to make the game that we all wanted ARK 1 to be – now that we’ve had the time, resources, and knowledge to do it right.)" 이라고 표현한 것으로 ASE 자체가 낮은 개발력으로 기반을 제대로 못 만들었고 이런 기반으로 기존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는 것이라 대놓고 말한 바 있다. 개발자 스스로도 인정한 것.]로밖에 들리지 않는다는 것, 아예 리마스터 자체도 아크 2가 출시되면 업데이트를 종료 시킬 것이라는 불안 등이 그 이유이다. 결국 여러 논란과 의문들을 의식했는지 아크 2에서 떨어진 개별 패키지화와 함께 ASA 구매 시 유료 DLC도 같이 포함되게 되는 것으로 수정되고[* [[https://survivetheark.com/index.php?/articles.html/community-crunch-356-ark-roadmap-update-rhyniognatha-concept-and-more-r2078/|#]]] 대대적인 모델 개선이 이루어지며, 각 맵마다 추가적인 고유 생물들을 추가하는 등[* 그러나 이마저도 [[더 센터]]가 가장 먼저 나온 맵임에도 불구하고 공모전을 [[에버레이션]]보다 늦게 진행하여 센터는 유기했냐, 혹은 잊어버렸냐는 비아냥이 조금씩 보였다. 그나마 선정된 생물이 [[샤스타사우루스|대형 수중 생물]]이 된 것은 호평이 좀 있긴 하다.] 1과의 차별점을 계속 강조하고 있다. 이에 대해서는 지속적으로 유저들의 의견을 반영하여서 다행이라는 반응과 여전히 우려먹기와 상술, 시간 끌기에 불과하다는 의견이 양립하고 있다. 이런 불안한 여론의 의견은 단순 우려에 그치지 않고 [[ARK: Survival Evolved]] 본편과 DLC들의 스팀 평점을 낮게 주는 등 여러 부정적인 영향들이 나오고 있다. 추가로 아크를 포함한 여러 게임들의 서버 호스팅 업체인 [[https://server.nitrado.net/en-US|Nitrado]]와 독점적인 파트너십을 맺은 것에 대해서도 말이 많다. 이에 대해서는 와일드카드를 소유한 스네일게임즈 내부 재정 상황이 좋지 않아 Nitrado 측에서 스네일게임즈에 막대한 양의 돈을 보내줘서 파트너십을 맺은 것이 아니냐는 이야기가 존재한다. [[https://youtu.be/nCuwLzvj2DY|유튜브 분석]] [[https://www.reddit.com/r/ARK/comments/15uthft/lets_face_it_asa_is_gonna_make_snail_games/|레딧 글]] 다만 시간이 지나면서 추가적으로 공개되는 1.5 정보들을 종합해보면 1에 비해서 변경점이 꽤나 많은 것은 물론, 1에서의 고질적인 문제들을 해결할 의지가 보이긴 하기에 1.5를 기다리는 여론도 첫 공개 시점에 비해 많아졌다.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